예방접종
예방접종은 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감염병에 대한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방접종을 통해서 체내에 투여되는 백신은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자극해 병원체에 대한 면역을 생성하여 대부분 영구적입니다.
수두
접종비용: 무료 접종 횟수: 1회 (12~15개월) 접종백신: VAR 수두 바이러스는 호흡기 분비물 등의 비말을 통해 호흡기로 감염되거나 피부에 난 수포액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 급성 미열로 시작되어 점차 전신에 가려운 수포가 생기는 발진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 유행이 있는 질환이니 반드시 예방접종 해야합니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접종백신: HpV2, V4 접종 비용: 무료 접종 횟수: 2회(만 12세)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병원체입니다. 감염시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두경부암 등의 hpv 관련 암 및 생식기 사마귀와 호흡기에 생기는 유두종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주로 감염된 사람과의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두 종류의 백신이 있으며 만 12세에 6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한다. 이때 동일한 백신으로 접종합니다.
A형간염
접종백신: hepA 접종비용: 무료 접종 횟수: 2회(생후 12~35개월)
A형간염바이러스로 생기며 분변 경구 경로로 전파됩니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전파되거나,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해서 감염됩니다. 6세 미만의 아이 중 약 70%에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증상이 있어도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드물어요. 그러나 6세 이상의 아이나 성인은 대부분 황달이 동반된 간염 증상을 보입니다. A형간염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없는 고위험군 성인의 경우에도 예방좁종이 권고되는 질환으로, 대부분의 엄마들이 A형간염예방접종력이 없는 경우가 많아 접종 기록을 확인한 후 아이와 함께 예방접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후 12개월 이후에 1차 접종하고 생후 6~18개월 후 추가 접종합니다.
인플루엔자
접종백신: 인플루엔자 불활성화 백신(사백신) 접종 비용: 무료 (생후6~12개월 미만) 접종 횟수: 첫 접종시 2회(4주 간격, 이후 매년1회 접종 / 생후 6~59개월) 매년 겨울철에 유행하는 감염병으로 고열과 함께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을 일으키는 증상을 가지고있는 바이러스입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유행 시기가 있어서 보통 인플루엔자 백신은 10~12월에 접종을 권장한다. 생후6~59개월 소아의 경우 우선접종 대상에 해당된다. 사백신이라 불리우는 인플루엔자 불활성화 백신을 접종하며, 처음 접종할 때는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이후 매년 1회씩 접종한다.
로타바이러스
접종백신: RV1, RV5 접종비용: 유료 접종 횟수 :2회1, 3회 (RV5), 생후 2~6개월 로타바이러스는 영 유아에서 발생하는 위장관염의 원인으로 분변 경구 경로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직접적으로 전염되기도 하고 분변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해도 전염이 됩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약 2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서 구토와 설사, 발열, 복통 증상이 나타납니다. 생후 3개월 이후 아기에게 첫 감염이 발생하면 그 증상이 매우 심하게 나타납니다. 두 종류의 백신이 있으며 좁종 횟수에 차이가 있다. 간, 동일한 제조사의 백신으로 계속 접종하기를 권합니다. 권장 시기가 지나도 접종할 수 있으나, 생후 8개월 이후에는 접종하지 않습니다.
'육아_복어공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개월아기 복어공주 근황 발달모습 문화센터 (0) | 2019.04.23 |
---|---|
아기 예방접종 결핵, B형간염, 폴리오 접종횟수 (2) | 2019.04.04 |
임신 초기 증상 첫 달 주의사항 (1~3주) (0) | 2019.04.01 |
임산부 태교여행 주의사항 임신 태교여행 시기 (0) | 2019.03.31 |
아기 똥 건강 개월수에 따라 다른 아기 변 색으로 건강 체크해봐요. (0) | 2019.03.17 |
댓글